스킵네비게이션

01 /

학교안내

1887 ~ 1999 - 경건 · 학문 · 실천의 교육 하나님의 사람 세우기, 122년 대한민국 최초의 신학교, 감신이 걸어온 길

History

1999

  1. 03.23

    100주년 기념관 준공하다(지하3층, 지상7층/연면적 9,998㎡)

1998

  1. 10.23

    100주년 기념관 봉헌식을 거행하다.

  2. 10.

    전국대학종합평가에서 전국최우수신학대학원으로, 연구 및 재정?경영 영역 우수대학으로 평가받다.

  3. 03.06

    인터넷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학교 전산망을 구축하다.

  4. 03.01

    사회교육원을 등록하다.

  5. 01.

    전국대학종합평가에서 전국최우수신학대학원으로, 연구 및 재정, 경영 영역우수 대학으로 평가받다.

1997

  1. 10.25

    교육부로부터 목회신학대학원(M.Div) 설립인가를 받다.

  2. 02.27

    제9대 총장 염필형 박사 취임하다.

1995

  1. 02.20

    제8대 총장 이종수 감독 취임하다.

1993

  1. 03.01

    교육부로부터 감리교신학대학을 감리교신학대학교로 학장을 총장으로 개칭하다.

1992

  1. 08.10

    제7대 학장 구덕관 박사 취임하다.

1990

  1. 03.12

    이사회에서 감신대 음성 제2캠퍼스(충북 음성군 감곡면 원당리)를 개발하기로 가결하다(약 12만 5천 5백여 평).

1988

  1. 08.10

    제6대 학장 변선환 박사 취임하다.

1985

  1. 10.30

    기독교교육과를 기독교교육학과로 개편하다.

  2. 07.05

    제5대 학장 송길섭 박사 취임하다.

1982

  1. 10.05

    교육부로부터 종교철학과 설치인가를 받다.

  2. 06.29

    종합관을 준공 개관하다.

1981

  1. 07.15

    김용옥 학장 기념관(도서관)을 준공 개관하다.

  2. 02.14

    제4대 학장 박봉배 박사 취임하다.

1980

  1. 11.24

    교육부로부터 신학대학원 설립인가를 받다.

  2. 09.30

    교육부로부터 ’81학년도 입학정원 증원 및 기독교교육과 설치인가를 받다.

  3. 03.15

    교육부로부터 공동박사과정 설립인가를 받다.

  4. 02.11

    제3대 학장 김용옥 박사 취임하다.

1977

  1. 06.

    제2대 학장 윤성범 박사 취임하다.

1971

  1. 07.15

    한국교회선교문제연구소를 설치하다(초대소장 : 홍현설 박사).

  2. 01.23

    교육부로부터 정규대학원 설립인가를 받다.

1970

  1. 05.07

    평신도 아카데미를 설치 개원하다(초대원장 : 김철손 교수).

  2. 01.06

    교사자격증을 위한 교직과정 설치인가를 받다.

1969

  1. 03.17

    기독교교육연구소를 설치하다(초대소장 : 은준관 박사).

  2. 03.

    교단 위탁 과정으로 선교대학원을 설치하다(초대 원장 : 윤성범 박사).

1964

  1. 02.12

    재단법인 감리교신학원을 학교법인 감리교신학원으로 조직 개편을 신청하다.

  2. 01.21

    교육부로부터 감리교신학대학(4년제)으로 인가를 받다.

1962

  1. 03.06

    교육특례법에 의거 학칙을 변경하고 교명을 감리교신학교로 개칭하다(예과 2년, 본과 3년, 5년제).

1960

  1. 10.31

    대학본관 준공 개관하다.

  2. 02.21

    두 번째 화재로 대학 본관이 전소되다(학적부 및 도서 소실).

1959

  1. 10.31

    웰치기념강당(Welch Memorial Chapel)을 준공하다.

  2. 05.01

    여자기숙사를 냉천동 부지 내에 준공하다.

  3. 03.21

    초대 학장에 홍현설 박사 취임하다.

  4. 02.26

    문교부로부터 감리교신학대학으로 승격인가를 받다(문교 제792호).

1957

  1. 03.21

    교육부로부터 재단법인 감리교신학원 설립인가를 받다.

1956

  1. 04.

    전수과(주간부) 감리교대전신학교 전수과와 합병 이전하다.

  2. 03.

    전수과 야간부 폐지하다.

1954

  1. 09.

    전수과 야간부(60명) 설치하다(책임교수 : 변종호 교수).

  2. 04.

    서울로 복귀하여 냉천동 교사에서 본과 개강하다.

1953

  1. 09.21

    서울 냉천동 교사에서 전수과 신입생을 모집 개강하다(책임교수 : 이호운 교수).

  2. 01.

    교장에 홍현설 박사 취임하다.

1952

  1. 10.15

    <신학세계>를 복간하다(제27권 1호).

1951

  1. 05.04

    부산으로 피난하여 수정동 551번지에 임시로 판자 교사를 지어 개교하다.

1950

  1. 06.

    한국전쟁으로 임시휴교하다.

  2. 04.01

    학제를 대학령에 따라 4년제로 개편하다.

1949

  1. 교장에 류형기 박사 취임하다.

1946

  1. 01.

    해방 후 감리교(회)신학교 재건운동에 따라 설립자에 양주삼 총리사, 교장에 변홍규 박사가 추대되다.

1945

  1. 08.15

    해방

1941

  1. 12.08

    태평양전쟁이 발발하자 일제의 황민화 교육정책으로 인해 학교 명칭도 ‘교사연성소’로 개칭 운영되는 등 겨우 명맥을 유지하다. 일제 말기에는 교사(校舍) 역시 징발되어 충정로 교사는 사상보호관찰소로, 냉천동 교사는 순사(경찰) 강습소로 사용되다.

  2. 06.03

    일제의 전시체제에 부합된 신학교로 개교하다(교장 : 김인영 목사).

1940

  1. 10.03

    일제의 강압으로 무기 휴교하다.

  2. 03.

    3년제 전수과를 병설 운영하다.

  3. <신학세계> 폐간되다.

1939

  1. 03.20

    변홍규 박사 교장에 취임하다.

1935

  1. 04.05

    대학령에 따라 5년제(예과 2년, 본과 3년)로 개편하다.

1932

  1. 04.

    협성신학교와 협성여자신학교를 합병하고 교명을 감리교(회)신학교로 개명한 후 명실상부한 4년제 남녀공학을 실시하다(교장 : 빌링스 B. W. Billing, 부교장 : 채핀 A. B. Chaffin).

1931

  1. 12.14

    교명을 감리교신학대학교로 개칭하고 전문학교령에 준하여 4년제 남녀공학을 실시하다.

1929

  1. 04.

    한국 최초로 협성신학교와 협성여자신학교가 합동하여 남녀공학제 수업을 실험적으로 실시하다.

  2. 영문과 1회 졸업생을 배출하고 폐지하다(영문과 졸업생 4명).

1927

  1. 케이블 선교사가 교장으로 취임하다.

1925

  1. 04.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충정로 3가 8번지에서 운영해 오던 협성여자신학교와 합동하다.

1924

  1. 04.

    협성신학교의 학제를 변경함에 따라 4년제로 개편하다.

  2. 03.28

    협성여자신학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다.

  3. 03.

    영문과를 설치하다.

1920

  1. 11.

    부인성서학원을 남북감리교회에서 합동운영하기로 결정한 후 명칭을 협성여자신학교(Union Methodist Women’s Theological School)로 개칭하다. 초대교장에는 채핀(A. B. Chaffin) 선교사가 취임하다.

1919

  1. ~21.

    두 번째 본관(건축비 2만 4천달러)과 데밍(C. S. Deming) 선교사 사택 및 기타 부속건물 등을 건축하고 난방시설을 설치함.

1918

  1. 12.12

    제6회 졸업식 당일 화재로 인하여 본관(갬블기념관)이 전소되고 영문신학도서 1,500여 권이 소실되다.

1917

  1. 06.15

    부인성서학원의 교사를 서울 충정로 3가 8번지에 4층 회색 벽돌 건물로 신축하여 이전하고 로드웨일러성경학원(the Louise C. Rothweiler Bible Training School)으로 명명하다.

1916

  1. 12.

    한국 최초의 신학전문학술지인 <신학세계>(the Theological World)를 창간하다.

1915

  1. 3층 벽돌 교사(校舍) 갬블기념관(Gamble Memorial Building)과 기숙사, 케이블 선교사 사택 등을 건축하다.

1913

  1. 협성신학교의 교장으로 하디(R. A. Hardie) 선교사가 임명되다.

1912

  1. 03.05

    부인성서학원 제1회 졸업식이 거행되다(졸업생 : 손메례, 양우로더, 박마불, 문알베르트).

  2. 부인성서학원 임시 교사로 여선교부 소속건물(구 손탁호텔)을 빌려 사용하다.

1911

  1. 12.20

    협성신학교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하다.

  2. 09.27

    1910년 미 남북감리교회 선교부가 서울시 냉천동 31번지에 부지 5천 평과 기존 한옥 수채를 6천 달러에 구입 및 수리하고 이듬해 9월 27일 입당식을 하다. 교장에 케이블(E. M. Cable) 선교사가 맡아 운영하다.

1910

  1. 06.23

    미 남북감리교회 선교부가 합동 경영키로 한 후 감리교회 협성신학교(Union Methodist Theological Seminary)로 발전, 운영하다.

  2. 04.

    미국 남북감리교회 한국선교부에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냉천동 31번지에 협성 신학교 기지를 구입하고 이곳에서 수업하기 시작하다.

1907

  1. 06.

    남북감리회 선교부가 합동하여 감리회 협성신학교를 설립운영하다.

  2. 앨벗슨(M. M. Albertson) 선교사가 내한하여 부인성서학원(the Woman’s Bible Training School)을 맡아 운영하다.

1901

  1. 신학회의 일원인 김창식과 김기범이 한국 최초의 목사 안수를 받다.

1899

  1. 신학부가 신학회(Theological Association)로 발전 운영되었으며, 남감리교회의 콜리어(Collyor) 선교사가 남감리회 소속의 조사(a helper) 한 명을 신학회에 보내 함께 수업을 하다.

1893

  1. 08.

    1893년 8월 31일부터 9월 8일까지 개최된 미감리회 한국선교회 제9차 연회에서 아펜젤러가 배재대학(PaiChai College) 학교장과 신학부장으로 겸임 발령되다. 이때 신학반의 학생은 3~5명, 교수는 아펜젤러, 정규과목은 창세기와 로마서 등이며, 4년 과정의(본처전도사) 교육과정을 확정하다.

  2. 존스(G. H. Jones) 선교사가 학생 12명의 신학반 한 반(a class)을 개설한 후 성경, 설교학(Lecture), 구원론(Plan of Salvation), 성경개론(Biblical Instruction)을 가르쳤다.

1888

  1. 스크랜튼 대부인(M. F. Scranton)이 1888년 3월 부인성경반을 시작한 후 성경반 부인 2명을 전도부인으로 채용하다.

1887

  1. 09.

    미감리교 한국선교회(미감리회 1888년 연회보고서)가 한국인 목회자 양성을 위한 목적으로 한국 학생들에게 신학교육을 최초로 실시하다.

담당자

  • 기획연구과
  • 02-361-9217
최종수정일 : 2021-06-07